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정경영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11



휘몰아쳐오는 격랑(激浪)의 전략환경은 대한민국의 비상한 전략과 온 국민의 결연한 응전이 요구된다. 한국은 국내적으로 이념 · 경제의 양극화와 역사인식의 분열로 국가안보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북한의 핵무장과 김정은 체제의 예측 불가능으로부터 오는 중대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전략과 중국의 공세적 신형대국관계 간의 패권경쟁이 격화되면서 새로운 질서가 재편 중이다. 뿐만 아니라, 일본의 퇴행적 국수주의와 급격한 우경화는 물론, 러시아의 극동중시 정책과 개입전략 등 주변국의 세력확장은 지역 내 고조되고 있는 영토분쟁과 방공식별구역 경쟁, 그리고 군비경쟁으로 안보지형이 지각변동을 하고 있다.
본 책은 서장, 제1 · 2부, 결론 및 정책제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제1부에서는 국제 · 동아시아 · 북한 정세 등 격랑의 전략환경을 전망하고, 한미동맹 조정, 기존 진보 및 이명박 정부의 전략과 정책의 공과(功過)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대한민국과 한민족의 전략목표로「G7 통일한국」을 이루기 위한 구심력 안보전략을 제시하였다. 구심력 안보전략은 대내외 도전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조국을 스스로 지키겠다는 자립안보를 전제로 하고 있다. 북한의 국지도발에 능동적 억제전략을 구사하고, 우발사태 시 통일의 전기로 전환하는 전략이자 민족웅비의 대열에 북한의 동참을 유도하기 위한 선제적 대북정책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양자 · 3자 · 다자외교 등 다차원 동아시아 외교를, 그리고 빈곤퇴치 ․ 인권신장 ․ 평화증진을 통해 국제적 사명을 다하면서 국익창출에 기여하는 전향적 글로벌 외교안보정책을 담고 있다. 결론 및 정책제안에서는 외교·안보·통일 관련 정책부서와 국회 등에 구심력 외교안보정책의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로드맵과 함께 제안하고 있다.
외교·국방정책과 대북·통일정책을 설계·집행하는 정책요원, 대한민국의 주권과 혼백(魂魄)어린 조국 강토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수호하는 군인, 변화무쌍한 국제정치와 남북한의 역학관계를 꿰뚫고 끊임없이 한국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국제정치학자와 북한 전문가, 차세대의 리더가 될 젊은이, 그리고 한국의 안보와 외교를 걱정하는 일반 시민에게 일독을 권한다.

첨부파일
x9791155281833.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