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서보혁 편저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24



서보혁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가 엮고 쓴 이 책은 냉전시기 유럽에서 동서 양진영이 각자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상대방의 이익을 수용하는 포괄적 상호주의 전략, 협력안보의 전범을 다루고 있다. ‘한반도발 평화학’ 정립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평화인문학사업단이 단행본으로 출간한 첫 연구결과이다.

‘헬싱키 프로세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다자안보협력이란 무엇인가? 왜 유럽에서 다자안보협력이 발전했는가? 유럽안보협력회의(CSCE)는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헬싱키 프로세스가 동아시아에 가능한지, 그 필요성은 무엇인지 하는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그렇다면 유럽의 현대 국제관계사는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안보협력에 어떤 의미를 주는가? 이런 질문 앞에서 편저자는 헬싱키 프로세스를 통시적으로 정리하고 동아시아에 주는 시사점을 검토한 후(1장), 헬싱키 프로세스에서 중시되는 10개 주요 합 문서를 해제하고 그 원문을 제시하면서(2장) 그 의미를 생각할 기회를 주고 있다. 그 10대 문서는 아래와 같다.

1. 헬싱키 협의회 최종 권고(1973년)

2. 유럽안보협력회의 최종 의정서(1975년)

3. 베오그라드 최종 문서(1978년)

4. 마드리드 최종 문서(1983년)

5. 스톡홀름회의 문서(1986년)

6. 비엔나 최종 문서(1989년)

7. 새로운 유럽을 위한 파리헌장(1990년)

8. 신뢰안보구축방안 협상에 관한 비엔나 문서 1992(1992년)

9. 헬싱키 문서 1992: 변화에 대한 도전(1992년)

10. 부다페스트 문서 1994: 새 시대 진정한 동반자 관계를 향하여(1994년)


이 책은 헬싱키 프로세스가 무엇인지를 10대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그것이 한반도에 적용 가능한지,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국내 최초로 문헌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헬싱키 프로세스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은 『헬싱키 프로세스와 동북아 안보협력』(박경서, 서보혁 외, 한국학술정보, 2012)도 일독을 권한다.

첨부파일
유럽의평화와헬싱키프로세스.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