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고가영, 김수암, 박경서, 박인휘, 서보혁, 신인아, 우평균, 조성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69



이 책은 냉전기 유럽의 안보협력 경험이 오늘날 동북아시아 평화 정착에 어떤 교훈과 시사점을 주는지를 밝혀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헬싱키 프로세스의 성립 및 이행 과정을 지역안보협력 증진 및 동서독 관계 변화의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서술한다.
둘째, 헬싱키 프로세스의 성립 및 지속 요인을 동서 양진영, 참여 국가군, 각 행위자간 전략적 이해관계의 공유와 국제규범의 확산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셋째, 헬싱키 프로세스의 경험이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상과 한반도 평화정착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본다.

Ⅰ. 헬싱키 틀의 형성
1장 헬싱키 틀의 성립 과정과 전략적 삼각관계 … 서보혁
2장 CSCE 참여국의 전략적 이익과 협상 경과 … 우평균
3장 헬싱키 협정과 인권 의제 협상과정 … 김수암
4장 서독 신동방정책의 의의와 남북관계에 주는 교훈 … 신인아

Ⅱ. 헬싱키 프로세스의 전개
5장 군비통제의 기원과 진화 … 서보혁
6장 헬싱키 협정 이행 과정에서 인권과 바스켓Ⅲ … 김수암
7장 헬싱키 협정의 이행과 소련의 인권운동 … 고가영
8장 헬싱키 프로세스와 동서독관계 변화 … 우평균

Ⅲ. 유럽 안보협력의 교훈과 동북아 안보협력의 미래
9장 안보 개념의 정립과 동북아 안보공동체의 가능성 … 박인휘
10장 동북아 안보레짐 구축에 관한 비교연구 … 조성렬
11장 CSCE의 제도화 경로와 동북아에의 적용 가능성 … 서보혁
12장 한반도 평화정착과 평화통일의 길 … 박경서


첨부파일
헬싱키.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