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저자가 <중립화 정치론: 한반도 적용가능성 탐색(인간사랑, 1989)에 이어 20여년 만에 새로 펴내는 후속연구로서, 여기에는 동서독통일사례와 6.15남북공동선언 등 새로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성찰이 추가되었다. 선행연구가 대체로 중립화방안의 이론적 측면, 특히 중립화후보국의 입장을 위주로 한 이론구성에 역점을 두고 있었던 데 비하여 이 책에서는 한반도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다자안보협력체적 의미와 분단국통일사례의 역사적 준거모형에 해당하는 동서독통일사례의 교훈적 의미에 특히 주목해서, 한반도중립화통일방안의 현실적 적실성을 타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주요 내용: <제1부(1-5장): 중립화의 이론적 성찰. <제2부(6-9장): 한반도중립화론의 해부. <제3부(10-13장): 한반도의 국제적 위상과 중립화통일. <부록: 한국영세중립재통일헌장 초안모형・주요 중립화사례 및 통일독일 관련 공식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