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김계동 외 11인 지음, 『한반도 핵무기정치: 군사적 자산 또는 외교적 부담』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





한반도 핵무기정치: 군사적 자산 또는 외교적 부담




김계동, 이상현, 전봉근, 김보미, 함형필, 권보람, 김광진, 황지환, 정성장, 이춘근, 마상윤, 이경석지음|
명인문화사 펴냄|2025년 05월 30일 발행
ISBN979-11-6193-147-0


북한의 6차례 핵실험으로 인해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기정사실화되었고, 그동안은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의 차원에서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비핵화가 어려운 상황으로 전개되면서 북핵 억지책의 일환으로 한국의 핵무장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미국 우선주의정책 등으로 한국의 전문가들은 미국이 대북 핵억지를 목적으로 제공하는 확장억제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핵자강, 즉 한국이 핵무기 개발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늘어나고 있다. 국민의 여론 조사 결과만 보더라도 국민의 70%가 한국의 핵무장을 찬성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은 북한의 핵무기에 대응하여 핵무기를 개발하고 보유해야 하는가? 미국의 핵우산이나 확장억제로 한반도 내 안보 불안을 해결할 수 있는가? 그리고 한국은 핵무기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가? 이러한 의문과 함께 핵무기 개발은 사활적 문제이기 때문에 국가운명을 걸고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핵무기, 북핵문제, 군사력 등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최근 이슈들에 대한 내용을 논의하기 위해 모여 이 책을 기획하고, 집필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신중하게 접근했다. 그리고 질문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해법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핵무기 개발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정리하고, 정책결정을 수립해야 한다.

남북한 간의 대규모 전쟁 발발 가능성. 핵무기를 사용할만한, 휴전 이후 70년 이상 발생하지 않은 대규모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북한의 전쟁 대비 핵전력 및 전략 태세.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남한과 미국의 연합 군사력을 압도할만한 핵전력과 전략을 갖추고 있는가?

북한의 비핵화 협상 의지. 사용하지 못할 위험한 무기를 보유하는 것보다 충분히 보상을 받게 될 비핵화 협상에 임할 의지를 포기했는가?

한국 비핵전력의 대북 핵억지 능력. 북한이 전쟁 초기에 핵무기를 사용하지 못한다면, 한국의 재래식전력과 미국의 확장억제가 결합하여 대북 핵억지를 할 수 있는가?

미국 확장억제의 신뢰성. 미국이 동맹 차원에서 제공하는 북핵 대비 확장억제는 동맹이 지속되는 한 신뢰에 의문을 가질 수 있는가?

한국의 핵무기 개발 능력. 한국은 단시일 내에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재료와 기술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가?

한국 핵무장 시 미국과 국제사회의 반응. 한국의 핵개발은 미국의 한미동맹 가치와 이익에 해를 미치고, 국제사회는 강력한 제재를 할 것이며, 한국은 버틸 수 있을까?

핵무장 시 치르게 될 대가와 비용에 대한 국민여론. 핵무기 개발 시 치러야 할 국제사회의 압력, 소외, 제재 가능성을 파악한 후에도 70% 국민이 핵무장을 지지할까?





첨부파일
한반도 핵무기정치-앞표지.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