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김계동 외 지음, 『현대외교정책론』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60

현대외교정책론




김계동, 김태환, 김태효, 김 현, 마상윤, 서정건, 신범식, 유진석, 윤진표, 이기범,

이상환, 이태동, 인남식, 전재성, 조양현, 차창훈, 최진우, 홍현익지음명인문화사펴냄︱2022년 08월 26일 발행

ISBN979-11-6193-024-4




책소개



2007년에 처음 출간되어 2012년에 개정 2판, 2016년에 개정 3판이 출간되며 외교정책론 분야 중 많은 사랑을 받아왔던 『현대외교정책론』이 2022년 내용 업데이트뿐만 아니라 전면 개정을 통해 ‘개정 4판’을 출간했다.

외교정책은 한 국가의 주권, 생존, 국익추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특히 오늘날처럼 국제정치 질서가 급변하면서도 과거로 회귀하는 복잡한 구조의 모습을 보일 때에는 각 국가의 외교정책은 그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외교정책에 대한 전반을 연구하고, 공부하고, 검토하는 것은 국제정치 연구에서 꼭 필요한 분야임이 틀림없다.

이처럼 중요한 외교정책에 대하여 『현대외교정책론, 제4판』은 이론과 분석틀, 영역별, 국가 및 지역별 외교정책이라는 3가지 대분류를 하고 각 주제에 맞는 장들을 포함하여 전체 17개 장으로 구성하 였다. 즉 외교정책이라는 학문적 분야가 왜 어떻게 생겨났는지부터, 어떠한 이론들이 있는지 검토하 고, 외교정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국내적, 국제적 요인, 정책결정체계 등을 비롯해 군사안보, 통상, 공공외교, 환경, 국제법 등의 전통적으로 주요하게 다루어졌던 그리고 오늘날 주목받는 영역들의 외교정책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는 한반도와 중요하게 상호작 용을 하는 6개 국가와 3개 지역의 외교정책과 한국과의 관계를 자세히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외교정책이라는 분야의 거시적인 부분을 이해하려는 독자들의 요구에 맞게 구성되어 있다.




책의 특징


  • 국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외교, 외교정책을 이론, 영역, 국가-지역별로 소개


  • 전통적으로 주목받던 군사안보, 통상뿐만 아니라 공공외교, 환경, 국제법까지 영역 확대


  • 한반도와 관련 있는 6개국과 ASEAN, EU, 중동지역까지 해당 국가와 지역이 어떠한 목표와 기조하에 외교정책을 펼치고, 한국 혹은 대한반도 관계는 어떠한지 확대 분석


  •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분석한 최신 동향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