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김재한 외 11인 공저, 『통일·북한의 문화적 이해: 문화 콘텐츠로 조망하는 새로운 통일 담론』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46




『통일·북한의 문화적 이해: 문화 콘텐츠로 조망하는 새로운 통일 담론』



김재한·강동완·고상두·박상희·심영규·오일환·이현주·전병길·전영선·정기웅·정원주·최진욱지음|카오스북펴냄|202009월 25일 발행

ISBN979-11-87486-34-3





책 소개

통일과 북한을 이해하기 위한 담론은 정치, 외교, 군사, 경제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른바 하이폴리틱스(high politics)에 집중하였다. 군사 및 정치 문제가 최우선 과제였을 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아예 접근조차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이폴리틱스만으로 통일이나 북한의 문제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전통적 접근이 시도되어왔다. 특히, 문화 콘텐츠를 통한 북한 관심은 작지 않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 책은 김재한 외 연구진들이 공동 집필하여 2020 세종도서(학술부문)에 선정된 전작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 로컬 공간으로 조망하는 새로운 통일 담론(카오스북, 2019)에 이어 남북의 문화 콘텐츠 연구를 통해 통일 문제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담아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무형의 문화적 소재를 연구한 학자 12명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형의 통일·북한 문제를 설명하고 더불어 전망해보는 작업이다. 이 책이 통일과 북한 담론의 르네상스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소개

서장 통일·북한의 문화적 이해_김재한(한림대학교)13

1장 북한의 문화 유산과 남북 교류_정원주(한국교통대학교)23

2장 김일성의 초상화와 얼굴의 권력론_박상희(인하대학교)97

3장 남북 합작과 북한에서 건축하기_심영규(울산대학교)135

4장 선동의 기수, 선전의 첨병으로서 영화_전영선(건국대학교)167

5장 영화로 통일을 읽다_전병길(재단법인 통일과나눔)199

6장 북한 내 한류와 외래문화_강동완(동아대학교)235

7장 남북한 문화 협력과 스포츠_정기웅(한국외국어대학교)257

8장 북한의 집단 정체성_이현주(고려대학교)293

9장 북한의 신앙 변화와 통일 한국_오일환(한양대학교) 335

10장 통일 문화와 통일 전략의 조화_최진욱(전략문화연구센터) 379

11장 통일 이후 체제 전환기의 과거 청산_고상두(연세대학교)415

찾아보기443


첨부파일
김재한(한림대)_통일·북한의_문화적_이해.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