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공간 신간안내/참고자료

박창희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59



요즈음 중국의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1세기 강대국으로 우뚝 설 중국이 대외적으로 온건하고 방어적인 전략을 추구할 것인가, 아니면 단호하고 공세적인 전략을 추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깊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과연 중국은 평화지향적인 국가인가 분쟁지향적인 국가인가? 이에 대한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다. 최근 중국은 남사군도南沙群島, 대만臺灣, 조어도釣魚島 등 영토문제와 관련하여 전에 없이 야심적이고 공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중국은 더욱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안보전략을 추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관련 국가들과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중국의 경제적・군사적 부상과 그에 따른 전략의 향배는 앞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은 물론, 한반도 평화 및 통일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중국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추구하는 전략이 무엇인지 그 실체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은 1930년대 중일전쟁 시기부터 중국국공내전과 인도차이나 전쟁을 거쳐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을 추적하고 그 본질을 규명한다. 국공내전에서 중국공산당은 어떠한 전략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우세한 국민당을 상대로 싸워 승리할 수 있었는가? 또한 중국은 어떠한 전략을 추구함으로써 한국전쟁에 개입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이를 통해 볼 때 중국의 전략을 이루는 근간은 무엇인가? 이 책에서 필자는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전후를 중심으로 중국혁명기의 전략, 신생 중국의 대전략, 신생 중국의 한국전쟁 개입전략, 그리고 중국군의 한국전쟁 수행전략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까지 중국 전략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마오쩌둥毛澤東 전략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 실체가 무엇이며 실제로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또한 이와 같은 초기의 전략이 오늘날 중국의 전략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지를 심도 있게 고찰한다. 중국의 초기 전략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중국의 전쟁과 전략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파일
현대중국전략의_기원.bmp
목록